교육

EDUCATION

Curriculum

학부 학기별 교과과정 (2020-2023 교과과정)

  • Drag from side to side.

학년 학기 교과목
1학년 1학기 미분적분학1, 일반물리학및 실험1, 일반화학및실험1, 과학기술의철학적이해, 말과글, 사랑의실천1(한양나눔), 커리어개발Ⅰ:취.창업진로로드맵
2학기 미분적분학2, 일반물리학및 실험2, 일반화학및 실험2, 유기나노공학개론, 공학입문설계, 공학도를위한창의적컴퓨팅
2학년 1학기 공업수학1, 공업물리화학1, 공업유기화학1, 전문학술영어, 확률통계론
2학기 공업수학2, 공업물리화학2, 공업유기화학2, 공업유기화학실험, 재료과학개론, 글로벌리더십(HELP2)
3학년 1학기 고분자물성, 고분자물성실험, 고분자화학, 고분자화학실험, 유기광학분자설계, 유기나노재료역학, 표면및계면화학, 실용공학연구1
2학기 반도체공학, 고분자재료, 고분자합성, 기기분석, 양자화학개론, 유기나노기기분석실험, 공업논리및논술, 사랑의실천3(기업가정신), 실용공학연구2, 커리어개발Ⅱ:취.창업진로포트폴리오, 테크노경영학(스타트업종합설계)
4학년 1학기 전자재료디바이스, 전자재료디바이스실험, 고분자가공학, 나노공정공학, 유기광학소재, 유기광학소재실험, 사랑의실천4(미래실용인재), 유기나노공학종합설계1
2학기 고분자구조물리, 고분자구조실험, 고분자유변학, 스마트유기나노소재, 천연고분자재료, 유기나노공학종합설계2, 전공세미나(유기나노공학)

1학년 1학기 과목별 상세정보

  • 일반물리학및실험1 CUL3011 / 전공기초(필수)

    일반물리학 및 실험1 본 과목은 이공분야를 전공하는 학부생들이 수강할 수 있도록 개설한 과목이다. 본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이 힘과 운동, 만유인력, 주기운동과 파동, 유체역학, 열및 통계역학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관련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교육은 주당 3시간 이론수업과 2시간의 실험실습으로 이루어 진다. 이론수업 시간에는 일반역학, 중력, 유체역학, 파동, 열열학 등 힘이 관여된 여러 자연현상들에 대한 물리학적 기본 원리와 법칙들을 이해하고 과제를 통해 개념을 다지게 된다. 실험수업에서 물리에서 제시된 원리들을 실험을 통해 직접 조사하고 검증해 봄으로써 과학적인 분석체계를 익힌다.

  • 일반화학및실험1CHM1005 / 전공기초(필수)

    일반화학및실험1 물질의 구조와 성질 및 상호작용을 거시적 차원과 미시적 차원에서 이해하도록 한다. 물질 탐구 과정에서 습득된 지식과 과학적 연구방법을 전공분야 및 일상 생활에서의 전문적인 판단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교과 내용은 화학의 기본 개념과 법칙, 원자의 구조 및 화학 결합의 양자 역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액체, 고체 및 분자간의 힘을 규명하고 실험을 통한 실질적 응용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미분적분학1GEN2052 / 전공기초(필수)

    자연과학과 공학의 기초가 되는 미분과 적분의 분야 중 극한과 연속초월함수의 미분과 적분, 극좌표, 수열과 급수 등을 강의하여 수학에 대한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응용하는 힘과 과학적인 사고를 길러줌을 그 목표로 한다.

  • 커리어개발Ⅰ:취.창업진로로드맵GEN5029 / 교양필수

    본 과목은 신입생을 위한 코스로 대학생활에 입문하는 신입생들에게 학교생활의기본 예절, 학교 시설의 올바른 사용법, 자기 개발을 위한 방법, 더 나아가 보람된 학교생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그리고 앞으로의 대학생활을 원만하게 해나갈수 있도록 신입생들의 전공에대한 이해를 넓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신입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대학에서의 공부방법(학습 스킬, 노트 필기 등 강좌 따라가기, 시험보기)시간관리, 교육과정 이수요령에대한 지도와 전공설계및 직업설계에대한 도움을 주고자 각 전공의 주요분야, 바탕이 되는 이론, 관련분야, 국내외 동향, 진로 지도 등을 통해 대학생활전반을 좌우하는 1학년으로서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될 내용들을 다룬다.

  • 사랑의실천1(한양나눔)SYH0001 / 교양필수

    한양리더십(HELP:Hanyang Essential Leadership Plus)은 꿈과 비전을 품고 미래를 준비하는 차세대 글로벌 CEO를 육성하는 한양대의 대표 프로그램입니다. 그 첫 단계로 제공되는 휴먼리더십(HELP1)은 대학생활을 새롭게 시작하는 신입생들의 올바른 인성과 가치관 확립에 역점을 두고자 인문학(독서)적 감성과 소양을 강화하여 인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핵심가치를 중심으로 리더십을 익히는 프로그램입니다.

  • 과학기술의 철학적이해 GEN4091 / 교양필수

    이 과목은 현대사회의 여러 부분에 걸쳐 특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과학기술과 그것의 사회적 함의를 철학적인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폭 넓게 바라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학의 최근 이론적 성과물을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활용하여 살펴본다. 이 과정을 통해 수강생들은 과학기술의 본래적 특징과 사회문화적 측면 모두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수강생들은 현대의 과학기술이 그전 시기의 과학기술에 비해 몇 가지 두드러진 차이점을 보임을 배우고, 그런 차이점이 현대 과학기술의 독특한 성격을 이해하는데 왜 중요한지에 관해 논의한다. 또한 이 과목은 과학기술 활동이 윤리적인 결정과정과 관련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들을 고려함으로써, 사회적 합의도출 과정에서 과학자/기술자와 인문학자/행정가들 간의 토론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그런 토론이 유익한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서로 다른 지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 간의 상호이해의 기초를 제공한다.

  • 말과글CUL0005 / 교양필수

    본 교과는 학생들이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다양한 소통 상황을 잘 이해하고, 각각의 유형에 맞는 표현과 전략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힘으로써, 창의적 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말하기 교육에서는 말할 주제를 정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자신의 독창적인 견해를 대중 앞에서 논리적?체계적으로 말하는 능력을 기른다. 나아가 모둠 활동을 통해 특정 집단 내에서 공동으로 수행해야 할 과제에 대하여 구성원 전체의 의견과 창의력 등을 결집하는 과정에서 책임 있는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의견과 주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거나, 다른 구성원의 의견을 창조적으로 수용하여 바람직한 결론을 도출하는 능력을 기른다. 글쓰기 교육에서는 인간과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바탕인 문화를 자유로운 상상력과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유를 통해 읽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위해 수업은 학생들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토론 방식 및 자유로운 글쓰기 시간으로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학생 개개인이 주체적인 사유 능력과 글쓰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1학년 2학기 과목별 상세정보

  • 일반물리학및실험2 CUL3012 / 전공기초(필수)

    일반물리학 및 실험2 본 과목은 이공분야를 전공하는 학부생들이 수강할 수 잇도록 개설한 과목이다. 각자의 전공과목 수강에 앞서 자연현상을 기술하는 물리학법칙을 이해하여 주위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을 시굴 또는 예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각자의 전공분야에 응용하고 나아가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력을 갖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자기 현상과 파동 그리고 현대물리학의 발전내용을 소개하고 기호적인 전자기 실험과 파동에 관한 실험을 병행한다.

  • 일반화학및실험2 CHM1002 / 전공기초(필수)

    일반화학및실험1에서 습득한 화학의 기본 개념과 원자의 구조 및 화학 결합의 양자 역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물질의 상태, 용액의 성질, 용액 반응, 산과 염기의 반응 등을 반응속도론 및 화학 평형론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다눈다. 물질의 성질에 관하여 정리한 거시적인 화학 이론을 열역학, 전기화학, 착물화학 등에 대하여 심화시킨다.

  • 미분적분학2 GEN2053 / 전공기초(필수)

    미분적분학1에 계속되는 과목으로 자연과학 및 공학에 기초가 되는 미적분학과 해석기하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터득하여 앞으로 전공과목을 이수할 때 수학적인 소양과 논리적인 사고로서 여러 가지 문제를 처리하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미적분학과 해석기하학의 기본 내용 중에서 선형대수, 행렬과 방정식, 다변수 함수, 편미분, 중적분, 벡터함수 등 미분적분학1 보다 좀더 복잡한 함수와 연관되는 내용을 다룬다.

  • 유기나노공학개론 ONE1001 / 전공핵심

    본 강좌는 유기나노공학에 입문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유기나노공학의 과학과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유기고분자와 나노재료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설명하고 이러한 개념을 기본으로 구현할 수 있는 유기나노재료의 특성을 탐구한다. 특히 나노소재는 무게에 비해서 표면적이 과도하게 커서 기존의 마이크론 또는 서브마이크론 물질과는 매우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이때 나타나는 특성은 IT, BT, ET 등과 같은 첨단산업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강좌에서는 이러한 나노소재의 새로운 특성을 산업적으로 활용하는 원리와 기술에 대해서도 강의한다.

  • 공학도를위한창의적컴퓨팅 GEN1031 / 교양필수

    본 강의는 수업인원 관계로 유기나노공학과 1학년만 수강가능합니다. LabVIEW는 그래픽 기반의 G 언어입니다. 그리고 제어와 계측에 특화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엔지니어나 과학자는 실험을 통하여 실험 데이터를 취득하고 분석하여 논문을 작성합니다. 이때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장비를 구성하고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기술이 요구됩니다. LabVIEW는 일반 엔지니어도 한 학기 수강으로 필요한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편리하고 쉬운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이 강좌를 통하여 수강생들은 특화된 프로그래밍 역량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공학입문설계 COE2022 / 전공핵심

    본 교과는 학생들이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다양한 소통 상황을 잘 이해하고, 각각의 유형에 맞는 표현과 전략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힘으로써, 창의적 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말하기 교육에서는 말할 주제를 정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자신의 독창적인 견해를 대중 앞에서 논리적?체계적으로 말하는 능력을 기른다. 나아가 모둠 활동을 통해 특정 집단 내에서 공동으로 수행해야 할 과제에 대하여 구성원 전체의 의견과 창의력 등을 결집하는 과정에서 책임 있는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의견과 주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거나, 다른 구성원의 의견을 창조적으로 수용하여 바람직한 결론을 도출하는 능력을 기른다. 글쓰기 교육에서는 인간과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바탕인 문화를 자유로운 상상력과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유를 통해 읽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위해 수업은 학생들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토론 방식 및 자유로운 글쓰기 시간으로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학생 개개인이 주체적인 사유 능력과 글쓰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2학년 1학기 과목별 상세정보

  • 공업물리화학1 CHE2001 / 전공핵심

    열역학 제1, 제2 및 제3법칙,상변환, 상평형, 용액과 화학평형론의 기초이론과 응용 등이 포함된 화학원리를 강의하며 또한 용액 내의 이온거동, 전기화학전지 및 계면현상의 이론과 응용을 강의한다. 유기나노공학과의 기초과학과목인 물리 및 화학을 기초로 하여 열역학, 상평형, 화학평형론을 체계적으로 수학하여 전공과목 이해에 기초가 되도록 한다. 유기나노공학과의 전공자로서 전공과목 이수및 공학의 기초지식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 공업유기화학1 ICH2001 / 전공핵심

    유기물질의 기본적인 성질을 이해하기 위한 유기화합물의 구조, 특성, 이성질 현상 및 입체화학 등을 다루고 포화탄화수소, 시클로 알칸의 친핵성 치환반응, 알켄의 성질 및 부가반응, 알킨, 알코올 및 에테르 화학과 자유라디칼 반응에 대하여 강의한다.

  • 공업수학1 COE3051 / 전공기초(필수)

    공과 대학의 기초 과목인 미적분학을 기초로하여 상미분방정식, 선형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의 급수 및 급수해, Laplace Transportation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기초 개념 원리 및 법칙 등의 이해와 응용 능력을 배양하여 전공과목 이수에 기초가 되며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사고로써 사물을 처리하는 수학적 소양을 키우는데 있다.

  • 전문학술영어 GEN6032 / 교양필수

  • 확률통계론 MAT2017 / 전공기초(필수)

    본 과목에서는 유기나노공학을 전공하는 전공자가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통계학에 대하여 강의한다. 통계학은 공학전공학생 누구에게나 필요한 과목이지만, 특히 막대한 양의 실험적인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여야 하는 유기나노공학에서는 그 중요성의 더욱더 크다고 하겠다. 본 강의에서는 데이터 처리와 분석의 기본이 되는 확률통계의 일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2학년 2학기 과목별 상세정보

  • 공업물리화학2 CHE2002 / 전공핵심

    기체운동론, 화학반응속도론, 반응속도이론, 결정구조 및 고체상태의 이론과 응용을 포함한 물리화학적 원리와 분자구조, 화학결함과 분자분광학 등을 강조한 이론과 실제의 물리화학현상을 강의한다. 가스 및 액체의 분자운동, 화학반응속도론과 이의 이론, 액체 및 고체 표면의 성질과 구조와 이의 측정법, 전극에의 반응, 고체표면에서의 회절현상과 X-선 회절에 대한 해석 등 제반 법칙과의 이론적 체계를 확립 시키는 기법을 터득 할수 있도록 한다.

  • 공업유기화학2 ICH2002 / 전공핵심

    알데히드 및 케톤기를 포함하는 유기 반응, 방향족치환반응 등에 대하여 공부하고, 분광법에 의한 유기화합물의 구조결정을 위해서 자외 및 가시, 핵자기공명, 적외선분광법 등을 강술하며, 페놀류, 유가금속화합물, 알데히드 및 케톤, 카르복시산, 아민, 탄수화물, 지질 및 아미노산 단백질 등에 대하여서도 알아본다.

  • 공업수학2 COE3052 / 전공기초(필수)

    알데히드 및 케톤기를 포함하는 유기 반응, 방향족치환반응 등에 대하여 공부하고, 분광법에 의한 유기화합물의 구조결정을 위해서 자외 및 가시, 핵자기공명, 적외선분광법 등을 강술하며, 페놀류, 유가금속화합물, 알데히드 및 케톤, 카르복시산, 아민, 탄수화물, 지질 및 아미노산 단백질 등에 대하여서도 알아본다.

  • 공업유기화학실험 CHE3019 / 전공심화

    유기화학 및 유기합성에 관련된 기초지식의 실제적 이해를 돕기위하여 기본적인 실험이 행해진다. 고체 액체 기체 간의 상변환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및 정제법; 치환반응, 부가반응, 제거반응, 재배치 반응등과 같은 기본적인 유기화학 반응 등에 대하여 실험이 행하여 진다. 실험을 통하여 유기화학 관련 기기에 대한 조작법 및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은 물론, 유기화학 강의과목에서 배운 특정화합물을 합성하려 할 경우 필요한 반응장치, 반응조건, 분석등을 어떻게 구성하고 행하는가에 대한 능력을 제고시킨다.

  • 글로벌리더십(HELP2) SYH0002 / 교양필수

    Hanyang Leadership(HELP: Hanyang Essential Leadership Plus) is the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of Hanyang University that "helps" Hanyang students to be CEOs. The second step of this program, Global Leadership(HELP2) is the core course for sophomores. In the 21st century, we are moving into a global society where all countries are interconnected. Everything is changing at the speed of light. Competition is increasing. Digital convergence is occurring. Global leaders are the key to success for all organizations. In the global society, you can prepare for your future through HELP2. The purpose of HELP is to prepare students to be global leaders for the next generation. HELP2 teaches students: Global Leadership, Global Paradigm, Global Literacy, Global Manners and Global Mindset. Hanyang University students will be global leaders through HELP2.

  • 재료과학개론 COE1004 / 전공핵심

    재료의 특성을 규정하는 요인을 탐구하여 원하는 성질을 갖는 새로운 재료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재료의 미세구조와 성질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그 성질 변화의 요인을 고찰하는 등 기존의 재료에 대한 성질을 이해하여 필요한 성질을 가진 재료개발의 기초를 마련함을 목적으로 한다.

3학년 1학기 과목별 상세정보

  • 표면및계면화학 CTE3013 / 전공심화

    본 강좌에서는 물질표면 및 계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물리화학적인 관점에서 설명한다. 본 강좌를 통하여서 표면 및 계면의 화학적 구조, 열역학 및 운동학적 해석, 표면장력, 표면에서의 화학반응 등을 이해한다.

  • 고분자물성 CHM4013 / 전공핵심

    본 과목은 고분자의 고체상태의 물리적 특성과 물성의 설계에 대해 강의와 토론을 병행한다. 본 강의의 주요 내용은 : [1] 고분자의 화학적 구조에 따른 물리 화학적 특성, [2] 고분자의 긴 선형구조에 따른 점탄성, [3] 고분자사슬의 고차구조에 따른 기계적 및 역학적 특성, [4] 액정 특성, [5] 복굴절 등과 같은 광학적 특성, [6] 전기적 특성, [7] 압전성 등과 같은 기능적 특성, 그리고 [8] 고분자의 블렌딩이나 혼성화에 의한 물성 및 기능성 설계 등을 포함한다.

  • 고분자물성실험 MOL1001 / 전공핵심

    본 실험은 고분자의 고체상태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과 평가를 위해 수행된다. 고분자물성에서 습득한 고분자 점탄성에 대한 고찰적 이해, 고분자사슬의 배향에 따른 공학적 특성의 이해, 그리고 고분자 사슬의 공간적인 배열에 의해 발현되는 배향 및 결정구조의 측정방법을 공학적 원리와 실험의 측면에서 연구한다. 주요 실험 내용으로는 고분자의 인장특성, 강인성, 복굴절률, 열적 특성, 형구학적 특성 측정 등이 포함된다.

  • 고분자화학 CHM3007 / 전공핵심

    고분자 화학 전반에 걸쳐서 중요한 정의와 개념을 설명하고, 물성, 합성, 분석 등에 대하여 설명하며 이와 관련된 여러가지 사항들에 관하여 알아본다. 이 과목은 고분자 과학도 및 공학도가 되기를 원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고분자 본질을 이해하게 함에 의하여 고분자 합성과 다양한 고분자 재료의 가공 및 응용이 가능하게 한다. 이는 이 후에 설강되는 합성, 물성, 가공, 형태학 등의 수강을 위해 꼭 필요한 필수적인 성격의 과목이다.

  • 고분자화학실험 ONE3007 / 전공심화

    고분자화학 및 고분자합성에 관한 기초적인 실험을 통하여 고분자물질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실험실 안전, 단량체 및 용매 정제의 중요성이 재차 강조된다. 고유점도에 의한 분자량측정을 통하여 저분자량물질과의 차이를 알아보며, 단계중합 및 연쇄중합을 통한 고분자 합성법에 대하여서도 알아본다. 용액중합 및 유화중합과 같은 여러 가지 중합방법의 차이에 따른 장단점에 대하여 공부한다. 화학적 가교 시스템의 하나로 에폭시 가교시스템에 대하여 연구하며 고분자 분자구조가 어떻게 구성이 될 것인가에 대하여 알아본다. 원하는 고분자물질을 합성하거나 분석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장치, 반응조건, 및 분석기기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종합적인 설계분석 능력을 증진시킨다.

  • 유기광학분자설계 TXE3016 / 전공심화

    정보통신 및 전자산업에 사용되는 유기재료의 합성, 구조 및 물성, 가공방법에 대해 강의한다. 정보통신의 초소형 및 초고속화를 위한 유기소재를 이해한다. 전자재료 및 차세대 소재에 대한 유기재료의 설계와 이해를 집중강의한다.

  • 유기나노재료역학 ONE3005 / 전공심화

    나노기술은 전세계적으로 많은 대학교와 벤처 기업 그리고 국가가 지원하는 연구의 주요과제이다. 나노기술에서 유기나노재료역학은 다양한 형태의 힘과 변형 조건에 반응하는 개개 원자, 시스템, 구조들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 과목에서는 학생들에게 규모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역학에 치중하여 나노재료의 역학의 근본적인 개념에 대하여 소개한다. 이 과목에서는 multi-particle and nanoscale systems과 관련되는 이론적 배경과 multiple scale methods를 소개하며, nano-structured and bio-inspired materials 에 응용 등을 연구한다.

  • 실용공학연구1 COE1010 / 전공심화

    본 과목은 학부생들이 교수들의 실제 연구과제에 직접참여하여 활동을 하는 과목이다. 학생들은 각분야별로 제안된 교수들의 연구과제를 선택하고 구체적인 제안서를 작성하여 학기중 연구활동을 수행한 후 결과를 발표한다. 학생들은 연구활동을 통하여 다양한 창의적 사고의 함양 실제적 연구경험들을 축적하게 된다.

3학년 2학기 과목별 상세정보

  • 양자화학개론 ONE3006 / 전공심화

    구성분자의 미시적 성질로부터 물질의 거시적 성질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양자역학의 기본이론을 도입하고, 일련의 양자가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물리량의 양자화 개념과 파동함수이론 및 양자역학의 이해에 필요한 수학적 방법을 익히게 한다. 이러한 기초 이론을 상자속의 입자, 조화진동자, 각운동량, 수소원자, 다전자 원자 및 분자, 스핀가정 등 간단한 역학계에 관한 문제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양자역학에 대한 이해를 확실히 한다. 아울러 분자 분광학의 이론적 측면과 나노 및 생명과학 문제에 양자역학을 적용하는 방식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실질적인 응용을 살펴보기 위하여 분자 군론, 섭동법, 변분법, semiempirical 계산, ab inition 계산 방법 등에 대하여도 알아본다.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PC 및 Linux cluster 를 이용하는 양자계산과 분자 시뮬레이션을 실습할 기회를 준다.

  • 고분자합성 TXE4066 / 전공심화

    고분자 합성의 발달사와 함께 중요한 정의와 개념을 설명하고, 부가중합 및 축중합의 이론과 실제에 관하여 강의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고분자 재료의 합성 및 응용이 포함되며 효과적인 수강을 위하여 유기화학과 고분자화학에 관한 예비지식이 필요하다. 원하는 고분자를 성공적으로 합성하기 위한 설계 및 연습이 포함된다.

  • 공업논리및논술 TEA3028 / 교직전공

    현대 산업사회에서의 공업교육의 필요성과 철학적 가치를 고찰하며 다양한 공업분야 주제들에 대한 시사적 관점들을 논리적으로 전개하고 주관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기법을 배양한다. 공학적 문제들에 대한 접근방법과 해결방법을 논리적으로 구성하고 설득력 있게 서술 발표할 수 있는 능력을 익힌다.

  • 커리어개발II:취,창업진로포트폴리오 GEN5100 / 교양필수

    대학이 전략적으로 추구하는 뉴 밀레니엄의 테크노 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실천 전략 과목으로 경영학을 공대생 전원에게 사례중심으로 교육하는 테크노 실용 경영학으로 공대생의 경제 개념과 마켓팅 개념의 부재에서 오는 산업현장의 공대 교육에 대한 불만 요소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고 이를 통해서 공대생의 실용학풍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다음의 요건을 충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 기업에서는 공학적 기초 위에 경영적 센스를 겸비한 관리자로 (2) 벤처기업을 창업하면 성공확률이 가장 높은 벤처 사업가로 (3) 일반 기술 사회에서는 실천력을 갖춘 테크노 리더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한다.

  • 유기분자설계 TXE3016 / 전공심화

    정보통신 및 전자산업에 사용되는 유기재료의 합성, 구조 및 물성, 가공방법에 대해 강의한다. 정보통신의 초소형 및 초고속화를 위한 유기소재를 이해한다. 전자재료 및 차세대 소재에 대한 유기재료의 설계와 이해를 집중강의한다.

  • 테크노경영학(스타트업종합설계) GEN5026 / 교양필수

    대학이 전략적으로 추구하는 뉴 밀레니엄의 테크노 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실천 전략 과목으로 경영학을 공대생 전원에게 사례중심으로 교육하는 테크노 실용 경영학으로 공대생의 경제 개념과 마켓팅 개념의 부재에서 오는 산업현장의 공대 교육에 대한 불만 요소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고 이를 통해서 공대생의 실용학풍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다음의 요건을 충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 기업에서는 공학적 기초 위에 경영적 센스를 겸비한 관리자로 (2) 벤처기업을 창업하면 성공확률이 가장 높은 벤처 사업가로 (3) 일반 기술 사회에서는 실천력을 갖춘 테크노 리더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한다.

  • 반도체공학 ENE4028 / 전공심화

    반도체물리는 electronics 분야의 핵심 과목으로서 반도체의 기본 물성과 기본 반도체 소자인 P-N junction diode와 Schottky diode에 대하여 공부한다. 반도체의 기본 물성 부분에서는 반도체의 밴드갭 형성, 반도체에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입자들인 전자와 홀의 속성, 전자와 홀의 농도 조절 및 농도 계산, 전자와 홀의 이동과 생성, 재결합 등을 다룬다. 기본 반도체 소자 부분에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P-N junction diode와 금속-반도체 접합으로 이루어진 Schottky diode의 동작원리, 직류 전류-전압 특성, 스위칭 특성, C-V 특성 등을 다룬다. 이 과목을 이수하면 반도체의 기본 물성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며, 반도체 소자 제작 공정의 기본을 이해하게 되고, 그 자체로서 반도체 소자로 사용될 뿐 아니라 모든 반도체 소자의 기본 구성 요소가 되는 P-N junction diode와 Schottky diode의 특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집적회로 및 반도체 기술의 과거와 현재, 미래 발전 동향 등에 대한 전문 지식을 쌓을 수 있다.

  • 고분자재료 ICH4022 / 전공핵심

    고분자 재료의 단량체 설계, 합성, 구조 및 물성, 응용, 가공, 현황과 미래에 대해 강의 한다. 열가소성 고분자 및 열경화성 고분자를 이해하며, 플라스틱, 섬유, 고무로의 응용에 대해 논의한다. 고분자의 산업적 응용분야인 전자 및 반도체, 생체 및 생명공학산업, 항공우주산업, 자동차산업 등에의 응용에 대해 설계하고 단기 과제 (Term Project)를 수행한다.

  • 기기분석 CHM4001 / 전공핵심

    고분자 재료의 특성을 분석하는 대표적인 장비인 FT-IR spectroscopy, UV-vis spectroscopy, NMR spectroscopy, GPC, DSC 등의 기본 원리 및 다양한 응용사례에 대해 강의한다.

  • 유기나노기기분석실험 ONE3010 / 전공핵심

    본 과목은 다양한 분광분석기기를 이용하여 얻은 분석결과들을 양자화학 등의 물리화학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해석함으로서 분광분석 방법으로 부터 분자수준에서의 정보를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화합물의 분석과 및 합성에 기초가 되는 분광화학의 기초 이론을 실습하며, 주 대상 기기는 IR & Raman, UV 분광법 등이다. 시료의 제법에서부터 최종 데이터 처리까지를 익히도록 한다. 또한 재료의 발달과 함께 나노단위의 분석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나노소재/소자의 나노구조 및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첨단 나노분석기술에 관하여 학습하게 된다.

  • 사랑의실천3(기업가정신) SYH0003 / 교양필수

    한양리더십(HELP: Hanyang Essential Leadership Plus)은 꿈과 비전을 품고 미래를 준비하는 차세대 글로벌 CEO를 육성하는 한양대의 대표 프로그램이다. 그 세 번째 단계로 제공되는 한양리더십(HELP3)은 한양대학교 3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자본주의와 시장경제의 이해, 기업의 본질과 사회진출을 위한 준비, 경영마인드 확립을 목적으로 진행되는 기초 필수과목으로, 글로벌 사회와 기업의 요구를 반영한 설계, 현장감 있는 컨텐츠를 활용한 개발 등 한양대 실용학풍에 맞게 개발된 실사구시형 리더십 교과이다. 본 과정은 최첨단 교수설계 및 온라인 과정 개발 기법을 동원하여 개발되었으며, 총 16주간 온라인 과정으로 진행된다.

  • 실용공학연구2 COE1011 / 전공심화

    본 과목은 학부생들이 교수들의 실제 연구과제에 직접참여하여 활동을 하는 과목이다. 학생들은 각분야별로 제안된 교수들의 연구과제를 선택하고 구체적인 제안서를 작성하여 학기중 연구활동을 수행한 후 결과를 발표한다. 학생들은 연구활동을 통하여 다양한 창의적 사고의 함양 실제적 연구경험들을 축적하게 된다.

4학년 1학기 과목별 상세정보

  • 유기광학소재 ONE4014 / 전공심화

    유기광학소재로적용되는파이-공액구조분자에서의빛을비롯한에너지의흡수와방출을일반화학적관점에서논의하며,고분자와의화학적결합메커니즘과흡착원리를중점강의한다.또한전자재료학적파이-분자의응용특성을이해하기위한기초이론과응용 등이 포함된 화학원리를 강의 한다.

  • 유기나노공학종합설계1 ONE4003 / 전공심화

    유기나노공학전공의 강의, 실험실습, 설계 과목들을 이수한 후, 그 이론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문제를 제시하고, 이 문제를 풀기위한 시스템을 기획하고 설계하여 최종적인 시스템 또는 제품을 제작한다.

  • 유기광학소재실험 ONE3001 / 전공심화

    유기광학소재화학에 관련되는 실험과목으로 광학용 파이-전자 공액 분자 구조의 재료를 고분자 기질에 착색 또는 코팅 실험을 실습하고, 분광측색, 실험물의 후처리, 실험에 사용되는 각종 조제의 영향 등을 다룬다. 또한 기타 각종 고분자 media에서의 유기 및 무기 화합물의 물리 화학적 거동을 실험하면서 이론적 현상을 실제 경험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 전자재료디바이스 ICH4024 / 전공심화

    본 수업은 electronics 분야의 핵심과목으로써 IC 회로의 핵심소자인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transistor (MOSFET),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등에 대한 기초 이론, DC/AC 특성, I-V 및 C-V 특성, 그리고 transistor 소자의 미세화 과정에서 파생되는 현재 기술의 문제 및 미래 기술동향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 본 과목을 이수한 학생은 IC 회로의 핵심 소자들에 대한 기초 이론, I-V 및 C-V 등의 전기적 특성, 문제기술 및 미래 기술동향에 대한 전문지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수업에서는 p-n junction 기반 photovoltaic cell, MOSFET 기반 dynamic random-access memory (DRAM), flash memory 및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RRAM) 확장에 대하여 학습하며, 지능형 반도체 기술인 neuromorphic computing에 대하여 소개한다.

  • 전자재료디바이스실험 ONE4016 / 전공심화

    전자재료디바이스실험 수업은 전자재료디바이스 수업을 통하여 습득한 유/무기 반도체 소재 기반의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 직접 체험함으로써 관련 기술에 대한 공학적 이해의 깊이를 더할 수 있다. 본 실험 수업을 통하여 유기 및 무기물 반도체 소재 기반의 태양전지,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photodetector 및 transistor 디바이스의 동작 원리 및 제작 방법에 대한 전문 지식을 함양하고 측정 결과 해석을 통하여 전자재료를 활용한 디바이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 고분자가공학 ONE4007 / 전공핵심

    합성되어진 고분자 재료의 가공으로 인류에게 유익한 형태로의 고분자 재료가공 기법을 강의한다. 고분가공의 기초가 되는 점탄성 이론, Rheology의 개념을 가지며, 압출, 사출성형, 섬유방사, 블로운 필름 압출, 열성형과 나노재료의 성형에 이용되는 미세사출성형에 대하여 강의한다. 여러 가지 가공기법을 설계하고 단기과제 (Term Project)를 수행한다.

  • 나노공정공학 ONE1002 / 전공심화

    나노공학에 대한 소개과목으로, 크게 나노크기 가공, 나노재료 및 나노구조, 그리고 나노바이오공학에 대하여 소개된다. 나노크기 가공 에서는 나노 리소그라피와 자기조립, 분석방법 및 도구가 소개되고, 나노재료 및 나노구조에서는 나노튜브, 나노선, 나노입자, 나노복합재료, 나노크기 및 분자 전자재료, 나노 자기장시스템, 나노크기 광전자소재가 소개되며, 나노바이오공학에서는 생체모방 시스템, 나노모터, 나노유체제어, 그리고 나노의약 등에 대하여 소개된다.

  • 사랑의실천4(미래실용인재) SYH0004 / 교양필수

    한양리더십(HELP:Hanyang Essential Leadership Plus)은 꿈과 비전을 품고 미래를 준비하는 차세대 글로벌 CEO를 육성하는 한양대의 대표 프로그램입니다. 그 첫 단계로 제공되는 가치리더십(HELP1)은 대학 생활을 새롭게 시작하는 신입생들이 올바를 가치관 및 리더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한양대 1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기초 필수과목으로, 글로벌 사회와 기업의 요구를 반영한 설계, 현장감 있는 컨텐츠를 활용한 개발 등 한양대 실용학풍에 맞게 개발된 실사구시형 리더십 교과입니다. 가치리더십(HELP1)은 Pride in Hanyang, Core Value, Life Planning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Pride in Hanyang에서는 한양대의 역사를 살펴보고 건학이념, 핵심가치 및 비전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한양인으로서의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Core Value에서는 글로벌 사회와 기업이 강조하는 핵심가치를 이해함으로써 준비된 리더의 초석을 다집니다. 마지막으로 Life Planning에서는 자신의 과거, 현재 등 자신의 삶에 대해 성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전, 미션을 수립하고 리더십 개발 로드맵을 완성합니다. 본 과정을 최첨단 교수설계 및 온라인 과정 개발 기법을 동원하여 개발되었으며, 총 16주간 온라인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4학년 2학기 과목별 상세정보

  • 고분자구조실험 MOL4002 / 전공심화

    고분자의 결정형성에 대한 구조적요건과 특성에 대하여 실험한다. 다양한 결정화 조건에서 진행되는 결정성 고분자의 분자구조와 결정격자 그리고 얇은 판, 구, 섬유형 등의 다양한 결정형태를 살펴본 후 결정화 현상을 설명하고 그에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의 비교 토론을 하여 고분자 결정에 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 고분자구조물리 ONE4015 / 전공핵심

    고분자 물질의 구조및 형태를 광학 현미경, 전자 현미경, X선 회절법 등을 사용하여 연구, 관찰하게 한다. 관찰 범위는 nano 단위에서 크게는 micro 단위까지 이르며, 고분자 물질의 구정과 단결정 등 자체 특성과 고분자 결정 및 비결정 영역의 분자 배향 상태 등을 조사하게 하여, 제조 조건에 따른 고분자 구조의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변형에 따른 구조 변화와 물성 등의 관계를 이해토록 한다.

  • 고분자유변학 TXE4019 / 전공심화

    본 과목은 고분자 용액, 고분자 용융체 및 고분자 혼성계에 대한 유변학적 특성과 이들의 측정에 대하여 강의와 토론을 병행한다. 본 강의의 주요 내용은 : [1] 고분자 용액의 물리 화학적 특성, [2] 고분자 용융체의 물리적 특성, [3] 고분자 유체의 유변학적 특성 측정 원리, [4] 고분자 유체의 유변학적 특성, [5] 현탁계의 유변학적 특성, [6] 나노 복합체의 유변학적 특성, 그리고 [7] 유변학적 특성의 설계기술 및 유변학의 응용분야를 포함한다.

  • 유기나노공학종합설계2 ONE4004 / 전공심화

    유기나노공학전공의 강의, 실험실습, 설계 과목들을 이수한 후, 그 이론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문제를 제시하고, 이 문제를 풀기위한 시스템을 기획하고 설계하여 최종적인 시스템 또는 제품을 제작한다.

  • 전공세미나(유기나노공학)URIP ONE4005 / 전공심화

    이동현상론, 생물화학공학, 시뮬레이션, 고분자, 프로세스 제어 반응기 설계 및 열역학에 대한 토픽에 대하여 강의한다. 담당교수는 해당 학기에 학과에서 결정한다.

  • 스마트유기나노소재 ONE4002 / 전공심화

    스마트(Smart) 소재란 “외부의 자극(예를 들면, 스트레스, 온도, 습도, pH, 전자기장 등)에 의하여 물질의 고유 성질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성질이 변화하되 그 변화를 제어할 수 있는 물질”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과목에서는 학생들에게 스마트 소재의 다양한 특성과 그 특성을 이용한 사례 등을 소개한다 (예를 들면 Piezoelectric materials, shape memory polymers, pH-sensitive polymers, temperature-responsive polymers, chromogenic systems, photomechanical materials, and dielectric elastomers, 등). 또한 지금까지 배운 유기나노공학을 바탕으로 학생들 스스로가 스마트소재를 디자인함으로써 공학도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 천연고분자재료 MOL3003 / 전공핵심

    석유화학계가 아닌 천연자원으로 부터 얻을수 있는 고분자재료는 인류가 유용하게 사용한후, 자연으로 물과 이산화 탄소로 돌아간다. 공해를 일으키지 않고 인간에게 친화적인 천연고분자재료를 수학한다. 이산화탄소의 절감이 절박한 현시대에, 현대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교과목이다.